• [Kafka]ReplyingKafkaTemplate 사용하기

    작년 말부터 사내에 구축되어 있는 Kafka를 이용하여 이것저것 해보고 있다. RabbitMQ같은 메시지 큐 시스템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고 Kafka도 직접 써본 적은 없지만 여러 세미나나 컨퍼런스에서 조금씩 주워들은(?) 경험이 있어서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다. 마침 사내 인프라 쪽이 작년부터 MSA 환경으로 넘어가고 있는 과정이었는데 Kafka도 그 과정에서 세팅되었다. 우리 파트에서도 Kafka를...


  • [기타]2020년 회고록

    2019년 회고록을 올린 게 정말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해 두 해가 바뀌어 2021년이 되었다. 작년 한 해를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놀았다”이다. 딱히 나 자신에게나 주위 사람들에게 변명(?)할 이유도 없고 놀고 싶고 쉬고 싶어서 회사일을 제외하고는 그냥 마음 놓고 놀았다. 지나간 시간을 돌아보면 의미 없이 보낸 시간들도 있기에 아쉬운 마음도...


  • [Spring]Swagger2에서 특정 Method 문서화 제외하기

    현재 사내 Spring Boot 기반 프로젝트는 API 문서화를 Swagger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Swagger 사용의 장점으로는 Swagger html 페이지에서 각 기능을 바로바로 테스트해볼 수 있고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주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문서화를 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Annotation 기반으로 작동하다 보니 Swagger 문서화 설정을 위해 기존 코드에 각종 Swagger Annotation이 붙게...


  • [Spring]Spring Boot에서 memcached 연동하기

    사내에서 기존에 레거시 프로젝트(Spring 기반)와 연동하여 사용 중이던 memcached를 Spring Boot에서 사용해야할 일이 생겼다. 연동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올려본다. 필요한 부분만 추려냈기 때문에 Spring Boot 세팅이라든지 버전 등은 각자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될 듯 하다. pom.xml : memcached 라이브러리 추가 <!-- memcached --> <dependency> <groupId>com.google.code.simple-spring-memcached</groupId> <artifactId>spring-cache</artifactId> <version>4.1.3</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google.code.simple-spring-memcached</groupId>...


  • [Kafka]카프카 기초/개념 정리하기

    개요 및 개념 2011년 링크드인에서 여러 구직 및 채용 정보들을 한 곳에서 처리(발행/구독) 하기 위해 만든 플랫폼으로 시작 분산형 스트리밍 플랫폼(A distributed streaming platform) pub-sub 모델은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는 구조가 아니라 발신자가 특정 Topic에 메시지를 발행(pub)하면 수신자가 직접 해당 토픽을 구독(sub)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때문에 기존 메시지 큐 시스템보다...